정들었던 情人(정인)과 이별한다는 것은 힘들고 괴로운 일일 것입니다.
옛날 고려시대에 살았던 천재시인 정지상은 이별의 시를 대동강변에서 멋지게 썼습니다.
그런 그도 정치적인 소용돌이(묘청의 난) 속에서 참살(慘殺)을 당했다고 전해져옵니다.
사람이 산다는 것이 참으로 덧없는 일인 것만 같습니다.
아마 이 시를 쓴 계절이 이맘때쯤인 것 같은데 음미해 보시기 바랍니다.
송인(送人)이라는 시입니다.
雨歇長堤草色多 (우헐장제초색다)
비 개인 강언덕에는 풀빛이 푸르고
送君南浦動悲歌 (송군남포동비가)
임 보내는 남포에는 노래소리 슬프네
大同江水何時盡 (대동강수하시진)
대동강 물은 그 언제 다 마를 것인가
別淚年年添綠波 (별루년년첨록파)
이별의 눈물이 해마다 푸른 물결에 더하는 것을...
'내가 쓴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짝이는 것이 모두가 금은 아니라는데... (0) | 2012.04.07 |
---|---|
봄날을 준비하는 고슴도치 부자 이야기 (0) | 2012.04.07 |
봄비 오는 날 풀(草)을 올리는 마음... (0) | 2012.04.02 |
그것을 알아야 한다. (0) | 2012.04.01 |
한가함 때문인가...? (0) | 2012.03.31 |